워크넷의 직업심리검사는 산업체 종사자의 직무조사로, 개인의 진로특성(적성, 흥미, 가치관 등)에 따른 직업 예측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검사 결과가 나오면 워크넷의 다양한 직업정보자료와 연계해 청소년 및 성인 구직자들이 효율적으로 직업을 선택하도록 지원한다. 현재 청소년(10종)과 성인(11종)을 대상으로 총 21종의 검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온라인 상담 서비스도 이뤄지고 있다.?
직업심리검사는 청소년 및 성인 구직자의 진로인식을 높여 올바른 진로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고안됐다. 올바른 진로를 선택하려면 개인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아울러 개인의 특성과 직업에서 요구하는 특성을 매칭시켜 적합한 직업분야를 제시해주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직업세계의 급격한 변화, 직업세계와 인력수급의 미스매치 심화 등으로 인해 진로지도의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는 상황에서, 자기이해의 기본 자료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이 검사는 다양한 확대 노력과 수요 증가에 따라 연간 150만 명 이상이 이용 중이며, 그 활용 실적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
흥미·적성·성격 파악 가능…검사 결과 온라인 상담까지
21종의 심리검사는 진로선택을 위한 자기이해에 요구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 즉 흥미, 적성, 가치관, 성격 등 을 다양하게 측정한다. 특히, 각 연령대별로 구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청소년에게는 학과나 직업선택을 위한 가이드, 성인에겐 직업이나 훈련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검사실시를 위한 메인화면에는 실시대상, 실시기간, 결과예시(각 검사별 결과에 제시되는 내용의 예시화면) 등의 추가정보가 제공되며, 검사안내를 클릭하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검사를 완료하면 바로 결과가 산출돼 각 검사별 심리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검사마다 다른 내용으로 구성돼 있지만 대개 해당검사가 측정한 특성에 대한 개인의 점수,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직업추천 목록, 희망직업과의 비교 등의 내용이 제시된다. 이는 워크넷의 직업정보와 연계돼 있어 직업 및 학과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익하다. 개인의 검사결과는 워크넷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며, 심리검사 결과목록 조회를 통해 언제든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직업심리검사 결과에 대한 온라인 상담도 이뤄진다. 개인 맞춤형 진로 및 직업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온라인 상담전문가가 양성·배치돼 있는데, 이들로부터 결과해석에 관한 진로 및 직업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청소년, 대학생, 성인 등 연령별 특성에 적합한 상담이 이뤄지도록 연령별로 구분돼 있으니 적극 활용해보자. 온라인 상담은 직업심리검사를 받은 사람이면 누구나 쉽게 신청할 수 있다.
워크넷 직업심리검사 바로가기 : www.work.go.kr/jobMain.do?출처 : 고용노동부 월간내일, 12월호